대입 준비 중이신 학부모님들과 수험생들에게 주목할 만한 변화가 생겼습니다.
그동안 세 자녀 이상 가정에서만 지원할 수 있었던 다자녀 특별전형'이 이제는 두 자녀 가정도 지원 가능한 전형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두 자녀도 ‘다자녀 전형’ 가능? 대학들의 변화
올해 고3 학생들이 지원하는 2026학년도 대학입시에서
대전대학교, 우송대학교, 선문대학교 등이
다자녀 특별전형의 기준을 ‘세 자녀 이상’ → ‘두 자녀 이상’으로 완화했습니다.
형제가 둘 이상이라면, 가정 형편과 관계없이 지원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는 단순한 내부 정책이 아니라,
전체 모집 인원의 10% 정도를 ‘사회적 배려 대상자’로 선발하도록 규정한 고등교육법과
정부의 저출산 정책 기조를 반영한 조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 대학들이 기준을 완화했을까?
이러한 변화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정부의 다자녀 기준 완화 정책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2021년부터 다자녀 정책 지원 기준을 ‘3자녀 이상 → 2자녀 이상’으로 변경했습니다.
당시 위원회는
“세 자녀 이상 가구는 전체 유자녀 가구의 약 7.4%에 불과해,
혜택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기준을 완화했다”
는 입장을 밝혔죠.
이후 두 자녀 가정은
✅ 어린이집 입소 1순위,
✅ 공공주택 우선 공급 혜택
등 다양한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2️⃣ 학생 수 급감과 지방대 생존 전략
지방 대학들은 인구 감소와 학생 수 감소로 인해
지원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기존의 ‘기회균형 전형’(저소득층, 장애인, 탈북자 등 대상)은
자격 조건이 까다롭고, 지원율도 낮은 편이라
이를 보완하고자 ‘두 자녀 이상’ 가정으로 대상을 확대한 겁니다.
선문대 관계자는
“세 자녀 가정이 많지 않기 때문에
두 자녀 가정까지 포함하면 지원율이 올라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모두에게 환영받는 변화일까? 찬반 논란도
하지만 이런 변화가 모두에게 환영받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일각에서는
"다자녀 가정의 자녀를 사회적 배려 대상자로 포함시키는 것이 적절한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 자녀가 많다고 해서 모두 경제적으로 어려운 것은 아니며
✔️ 오히려 고소득층이 아이를 더 많이 낳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실제 사례 – 카이스트 2024학년도 기회균형 전형
- 총 59명 중
👉 다자녀 가정 자녀: 25명 (42%)
👉 기초생활수급자: 11명
👉 농어촌 출신: 11명
👉 차상위계층: 4명
👉 다문화 가정: 4명
이 결과를 보면, 오히려 정말 도움이 필요한 저소득층보다
다자녀 가정 자녀가 더 많은 비율로 혜택을 받고 있는 상황임을 알 수 있습니다.
‘두 자녀 가정도 다자녀 전형 대상’이라는 변화는
학부모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일 수 있지만,
그 혜택이 진짜 필요한 사람들에게 잘 전달되고 있는지에 대한 신중한 접근도 필요합니다.
📌 수험생 부모라면 꼭 확인하세요!
- 우리 아이가 ‘다자녀 전형’ 대상이 될 수 있는지
- 지원하려는 대학이 해당 전형을 운영 중인지
- ‘기회균형 전형’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사전에 꼼꼼히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